건강

만성질환 고혈압, 원인과 증상은?

토디92 2021. 10. 11.

만성질환 고혈압, 원인과 증상은?

1. 혈압이란? 고혈압의 정의

 

흔히 말하는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를 말합니다. 이때 말하는 혈압이란 몸 안의 혈관 중 동맥에 걸리는 압력을 나타냅니다. 쉽게 말해서 심장이 펌핑하는 과정 중 쥐어 짤 때는 수축기 혈압, 다시 돌아갈 때는 이완기 혈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고혈압의 기준과 범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상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20미만 그리고 이완기 혈압이 80 미만인 경우입니다.

고혈압 전단계 - 1기와 2기로 나누어집니다.

  • 1기 수축기 혈압이 120~129, 혹은 이완기 혈압이 80~84 일 때를 말합니다.
  • 2기 수축기 혈압이 130 ~139, 혹은 이완기 혈압이 85~89 일 때를 말합니다.

고혈압 단계 - 1기와 2기로 나누어집니다.

  • 1기 수축기 혈압이 149~159, 혹은 이완기 혈압이 90~99일 때를 말합니다.
  • 2기 수축기 혈압이 160 이상인 경우, 혹은 이완기 혈압이 100 이상일 때를 말합니다.

2. 혈압이 높을 때의 증상

 

혈압이 높아지면 아침에 일어났을 시 두통, 어지러움, 현기증 등 다양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혈압으로 인해 병원에 갈 만큼 불편한 증상은 뚜렷하지 않다고 합니다. 현대인의 대부분은 증상을 간과하거나 모르고 넘기기 때문에 위 증상으로 고혈압을 진단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합니다. 대부분 학교, 회사, 건강검진 등 혈압을 측정해보고 높아서 추후 고혈압을 진단받는다고 합니다.
물론 수축기 혈압이 180~200 정도로 아주 높을 때에는 뇌출혈과 같은 뚜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정도의 고혈압의 수준(수축기 혈압 140~150)에서는 대부분 심각하게 불편한 증상이 없습니다.

3. 고혈압의 원인

고혈압은 다양한 원인이 관여된 복합질환입니다. 대부분은 개인마다 원인이 다르며, 본질적인 고혈압에는 파악할 수 있는 원인이 없지만, 관련된 위험 요소가 몇 가지 있다고 합니다.

 


유전

가장 큰 관련 요인이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에 가족력이 있다면 고혈압 발병률이 높다고 합니다. 또한, 흑인이 백인보다 고혈압 발병률이 4배 높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미루어 볼 때, 유전적 요인이라는 인자가 고혈압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노화

 

나이가 들면 동맥경화가 일어나며 동맥의 탄력이 감소합니다. 즉 혈관이 딱딱해져 혈관이 늘어나지 않다 보니 혈액이 혈관을 지나갈 때 압력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생활습관


식습관(단맛,짠맛,기름기), 흡연, 비만, 음주 등의 요인이 있습니다.








댓글